일정 및 작업 관리

프로젝트 발표자료 팀원소개란

 이번프로젝트에서는 팀장으로서 팀이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마무리 할 수 있도록 어떤 순서로 작업을 하고, 인원배분은 또 어떻게 해야할지에 대해서 많은 고민을 했다.

 


공동 작업

 여러명이서 함께하는 팀 프로젝트인 만큼 작업내용을 구체화해서 작업시간과 인원을 배분하면 좋겠다고 생각했고, 이렇게 구체화한 작업들을 관리하기 위해서 칸반보드를 사용해서 현재 프로젝트의 진행상황이 어떤지, 작업 중에 어떤 문제를 마주쳤고 어떻게 해결했는지 확실하게 남기고자 했다.

칸반보드
칸반보드를 통해 관리한 이슈들 목록

 팀 규칙, 주제 선정, 시스템 설계 작성 등 프로젝트 진행에 대해 전체적인 방향성 해결해야할 문제에는 팀원 모두가 함께 머리를 맞대 최대한 빠르게 합리적인 결론을 도출하고자했다. 그리고 아래처럼 토의의 내용과 결과를 issue 탭에 기록해 issue 탭에 기록한 내용을 바탕으로 프로젝트의 다음단계를 진행했다.

시스템 리소스 설계 중 토의내용 일부발췌
업무 분배 및 순서 토의내용 일부발췌

 

 실제 구현파트의 작업분배는 팀원들 각각의 강점을 고려해서 분배했고, 나는 POC로서 각 일정들이 제시간에 마무리 될 수 있도록 각 파트를 오가며 작업상황을 체크하고 작업을 도와서 최대한 빨리 작업을 마무리할 수 있게끔 하는 역할을 맡았다.

 

이땐 알지 못했다..ㅠ 작업파트를 정하지 않았다는 것이 얼마나 많은 노동을 의미하는지...


파트 분배 작업

 각자 파트를 나눠 작업해야하는 구간에서는 각 파트의 진행사항을 확인하고, 작업을 도왔다. 그래서 프론트 부분의 로직과 인프라, 백엔드 부분의 로직과 인프라 작업 모두에 참여했다.

 그리고 진행상황을 최대한 쉽게 파악하기 위해 각 파트에서 해야할 일의 프로세스를 정해서 체크리스트로 만들었다.

이슈 탭 진행상황 체크리스트

물론 작업 중에 이슈를 마주쳤을 때 아래처럼 해당 이슈에 대한 기록도 남겨 내가 어떤문제를 마주했고 어떻게 해결했는지 팀원들도 알 수 있도록 했다.

이슈 기록 중 일부 발췌

 

오류에 대한 해결방법을 보고싶다면 아래 게시글을 확인해주면 된다.

2023.06.20 - [DevOps] - [DevOps] 최종 프로젝트 회고 - 구현(클라우드 리소스)

 

[DevOps] 최종 프로젝트 회고 - 구현(클라우드 리소스)

아키텍처는 이미 앞서 설계 부분에서 소개를 했기 때문에 구현과정 중 트러블 슈팅에 대한 내용을 위주로 작성했다. 트러블 슈팅에 대한 내용을 말하기 전에, 우리 아키텍처가 더 나아지기 위해

dratini.tistory.com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