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 프로토콜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는 인터넷에서 데이터를 주고받는 데 사용되는 프로토콜 중 하나이다. HTTP는 웹 브라우저와 웹 서버 간의 통신을 위해 개발되었으며, HTML, CSS, Javascript 등의 문서를 전송하기 위한 표준 프로토콜로 사용된다.

 HTTP는 클라이언트-서버 모델을 따르며, 클라이언트(보통은 웹 브라우저)가 서버에 요청(Request)을 보내고, 서버는 클라이언트에게 응답(Response)을 보낸다. 이때, 요청과 응답은 HTTP 메시지라는 형식으로 전송된다.

클라이언트 - 서버 모델



 HTTP는 기본적으로 평문(Plain text)으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때문에  데이터의 기밀성과 보안에 취약점이 존재한다. 따라서, 이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서 HTTP보다 보안성이 높은 HTTPS가 등장했다.

 

 

HTTPS 프로토콜

 HTTPS(Hypertext Transfer Protocol Secure)는 HTTP 프로토콜의 보안 강화 버전입니다. HTTPS는 HTTP와 마찬가지로 인터넷 상에서 데이터를 주고받는 데 사용되며, SSL(Secure Sockets Layer) 또는 TLS(Transport Layer Security)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암호화하고 보호해준다.

 HTTPS는 HTTP와 달리,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에 암호화된 통신 채널을 사용합니다. 이 암호화된 통신 채널을 통해 데이터가 전송되기 때문에, 중간자 공격(네트워크 통신을 조작하는 보안 공격)과 같은 보안 위협으로부터 보호받을 수 있다.

 HTTPS의 동작 방식은 이렇다.
.

  1. 클라이언트는 서버에 접속하고, SSL/TLS 암호화 방식을 사용하여 인증 요청을 보낸다.
  2. 서버는 인증서를 클라이언트에게 보내고, 클라이언트는 이 인증서가 신뢰할 수 있는지 확인한다.
  3.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에 공유된 비밀키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암호화하고 전송한다.

 

참고 : https://developer.mozilla.org/ko/docs/Web/HTTP/Overview

 

HTTP 개요 - HTTP | MDN

HTTP는 HTML 문서와 같은 리소스들을 가져올 수 있도록 해주는 프로토콜입니다. HTTP는 웹에서 이루어지는 모든 데이터 교환의 기초이며, 클라이언트-서버 프로토콜이기도 합니다. 클라이언트-서버

developer.mozilla.org

https://www.ibm.com/docs/ko/aix/7.1?topic=systems-client-server 

 

클라이언트 및 서버

서버는 데이터를 포함하거나 네트워크의 다른 컴퓨터에서 액세스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컴퓨터입니다. 클라이언트는 서버로부터 서비스나 데이터를 요청하는 컴퓨터입니다. 일반 서버 유형은

www.ibm.com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