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rep 명령어는 파일 내의 문자열 검색에 사용되는 명령어이다.
grep 명령어의 기본 사용법은 이렇다.
grep [OPTIONS] PATTERN [FILE...]
여기서 OPTIONS는 옵션을 의미하며, PATTERN은 검색하려는 문자열 패턴, FILE은 검색 대상 파일을 나타낸다. 파일 이름이 제공되지 않은 경우, grep은 표준 입력에서 데이터를 읽어온다.
grep 명령어의 자주 사용되는 옵션들은 이렇다.
- -i: 대소문자를 구분하지 않고 검색합니다.
- -v: 지정한 패턴을 포함하지 않는 라인을 출력합니다.
- -r: 하위 디렉토리를 재귀적으로 검색합니다.
- -n: 검색 결과에서 일치하는 라인의 번호를 출력합니다.
- -w: 패턴과 정확히 일치하는 단어만 검색합니다.
- -c: 검색 결과의 갯수를 출력합니다.
몇가지 예시를 들어보자.
예시 1 : 파일 내에서 "apple"이라는 문자열을 찾는다면, 다음과 같이 입력한다.
grep apple file.txt
예시 2 : 파일 내에서 "apple"이라는 문자열을 대소문자를 구분하지 않고 찾는다면, 다음과 같이 입력한다.
grep -i apple file.txt
위와 같이 입력하면 대소문자를 구분하지 않고 "apple"이라는 문자열을 검색한다.
이와 같이 grep 명령어를 사용하여 파일 내의 문자열을 검색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다양한 옵션을 사용하여 검색 결과를 정밀하게 조정할 수도 있기 때문에 매우 유용하게 쓰인다.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Linux] vi 에디터 사용법 (0) | 2023.03.27 |
---|---|
[Linux] nslookup 명령어 (0) | 2023.03.15 |
[Linux] read, write, execute 권한 (1) | 2023.03.14 |
[Linux] 데몬(demon)과 서비스(service) (0) | 2023.03.13 |
[Linux] multipass로 Windows에서 Linux(Ubuntu)사용하기 (0) | 2023.03.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