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slookup 명령은 DNS에 질의해 도메인 정보를 조회하는 명령어다. host명령어를 사용해도 비슷한 결과를 조회할 수 있다.
nslookup 명령어 사용(도메인, ip)
가장 단순한 사용법이다.
#nslookup명령어로 google.com도메인의 정보를 조회
~$ nslookup google.com
Server: 127.0.0.53
Address: 127.0.0.53#53
Non-authoritative answer:
Name: google.com
Address: 142.250.206.238
Name: google.com
Address: 2404:6800:400a:80c::200e
#비슷한 결과를 낼 수 있는 명령어인 host명령어 사용
~$ host google.com
google.com has address 172.217.25.174
google.com has IPv6 address 2404:6800:400a:80a::200e
google.com mail is handled by 10 smtp.google.com.
결과에서, 첫 번째 두 줄은 DNS 서버 정보를 보여준다. "Server"는 현재 사용 중인 DNS 서버의 IP 주소를, "Address"는 DNS 서버의 포트 번호를 나타낸다.
세 번째 줄은 "Non-authoritative answer"로 시작한다. 이는 조회한 정보가 공식적인 출처에서 제공된 것이 아니라, DNS 서버의 캐시에서 가져온 것이라는 의미다.
마지막 두 줄에서는 조회한 도메인 이름과 해당하는 IP 주소가 표시된다. 위의 예시에서는 "www.google.com" 도메인 이름의 IP 주소가 "142.250.206.238"임을 알 수 있다.
특정 DNS 서버에서 조회
조회할 때 사용할 DNS 서버의 ip주소도 지정해서 명령어를 사용할 수 있다.
#nslookup (도메인/IP) (DNS 서버 IP)
~$ nslookup google.com 168.126.63.1
Server: 168.126.63.1
Address: 168.126.63.1#53
Non-authoritative answer:
Name: google.com
Address: 142.250.207.110
Name: google.com
Address: 2404:6800:400a:80b::200e
결과는 거의 같은 것을 볼 수 있지만 질의한 DNS 서버가 달라
Server와 Address가 따로 DNS 서버를 지정해주지 않았을 때와는 다른 것을 볼 수 있다.
질의 타입 지정
어떤 것을 질의할지 타입을 지정해서 정보를 조회할 수도 있다.
이때, '-query=[type]' 옵션을 사용한다.
#mx(메일 서버)타입의 결과를 질의
~$ nslookup -query=mx google.com
Server: 127.0.0.53
Address: 127.0.0.53#53
Non-authoritative answer:
google.com mail exchanger = 10 smtp.google.com.
Authoritative answers can be found from:
smtp.google.com internet address = 64.233.187.26
smtp.google.com internet address = 64.233.188.27
smtp.google.com internet address = 74.125.203.26
smtp.google.com internet address = 74.125.203.27
smtp.google.com internet address = 74.125.204.27
smtp.google.com has AAAA address 2404:6800:4008:c03::1a
smtp.google.com has AAAA address 2404:6800:4008:c03::1b
smtp.google.com has AAAA address 2404:6800:4008:c04::1b
smtp.google.com has AAAA address 2404:6800:4008:c05::1b
위에서 사용한 mx타입 외에도 다른 타입들을 조회하는 것도 가능하다.
- NS (name server)
- ANY (호스트에 관련된 모든 정보)
- UINFO (사용자 정보)
- MINFO (메일 리스트 정보)
- PTR (IP 주소에 대한 호스트명)
- A (각 호스트에 대한 IP주소)
- LOC (해당 도메인의 물리적인 위치)
이 외에도 많은 정보를 조회할 수 있는데, 그에 대한 옵션들은 https://en.wikipedia.org/wiki/List_of_DNS_record_types 에서 확인할 수 있다.
Interactive Mode
아무 옵션도 인자도 주지않고 명령어를 실행하면 Interactive(상호작용) 모드가 실행된다.
사용자가 원하는 만큼 질의를 할 수 있다. 조회하는 질의 타입은 set query=[query]로 실행한다.
~$ nslookup
> google.com
Server: 127.0.0.53
Address: 127.0.0.53#53
Non-authoritative answer:
Name: google.com
Address: 142.250.206.238
Name: google.com
Address: 2404:6800:400a:805::200e
> set query=mx
> naver.com
Server: 127.0.0.53
Address: 127.0.0.53#53
Non-authoritative answer:
naver.com mail exchanger = 10 mx3.naver.com.
naver.com mail exchanger = 10 mx2.naver.com.
naver.com mail exchanger = 10 mx1.naver.com.
Authoritative answers can be found from:
mx1.naver.com internet address = 125.209.238.100
mx2.naver.com internet address = 125.209.238.137
mx3.naver.com internet address = 125.209.222.14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Linux] Ubuntu 환경에서 AWS CLI 설치 (0) | 2023.04.24 |
---|---|
[Linux] vi 에디터 사용법 (0) | 2023.03.27 |
[Linux] read, write, execute 권한 (1) | 2023.03.14 |
[Linux] 파일 내용 필터링 명령어 : grep (0) | 2023.03.14 |
[Linux] 데몬(demon)과 서비스(service) (0) | 2023.03.13 |